
VITO API 성능 비교
이번 Tutorial에서는 VITO API 를 이용해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해보고 결과가 얼마나 정확한지 확인해봅니다. 또한, 측정한 성능이 STT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 확인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정확하고 빠른 음성인식 AI를 만듭니다.
이번 Tutorial에서는 VITO API 를 이용해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해보고 결과가 얼마나 정확한지 확인해봅니다. 또한, 측정한 성능이 STT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 확인합니다.
VITO의 STT API는 다양한 언어에서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식 문서에서는 주로 Java, Curl, Python 등을 통해 API의 사용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Typescript를 이용하여 React.js와 Node.js에서 일반 STT API를 적용해보는 튜토리얼을 준비했습니다.
VITO Developers 사이트에서는 주로 Java, Curl, Python 등을 통해 API의 사용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존의 방법과는 다르게 Node.js(Express) 환경에서 일반 및 스트리밍 STT API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튜토리얼을 소개하려 합니다.
프로덕트에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면 더욱 멋있어 질 것 같습니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VITO API를 내 서버에서 사용하여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글은 Spring Boot 로 구성된 서버에서 VITO API를 사용하는 튜토리얼에 대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간단한 은행 업무를 위해 금융사에 전화 문의를 했는데 AI 콜센터로 연결된 경험이 있으신가요? 더 간단하고 쉬운 금융 상담을 위해, 많은
원문은 리턴제로 Github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curated list of Korean speech recognition resources for developers, including the error
배경 * 마인드웨어웍스는 기존에 한국시장에서서 CogInsight라는 제품을 통해 AICC, 챗봇, 음성봇 등을 제공하여 고객상담, 고객관리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습니다. CogInsight 내에서 IBM
사람을 살리는 AI, 리턴제로 STT API 도입으로 광주소방서의 신고 접수 능률이 향상된 사례를 소개해드립니다. 배경 * 119 신고 접수부터 출동까지 소요되는